치즈로 충치 예방하세요~ (KISTI) 단 음식을 먹은 이후 바로 양치할 상황이 안 된다면 치즈를 한 조각 먹어보자. 우리의 입안과 우리가 먹는 음식 안에는 수천억 개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그중에는 ‘스트렙토코코스 무탄스(S. mutans)’라는 충치를 만드는 박테리아도 있다. 이 박테리아는 탄수화물을 보면 번식력이 증가.. KISTI와과학 2012.10.09
못 배운 과학자의 위대한 업적 (KISTI) 지난 9월, 한국영화계의 비주류, 아웃사이더로 손꼽히는 김기덕 감독이 영화 ‘피에타’로 제 69회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해 주목받았다. 그간 흥행률 저조, 평단의 혹평 속에도 묵묵히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어 왔는데, 영화 관련 정식교육을 받지 못했음에도 세계 유수의 영화.. KISTI와과학 2012.10.06
은행, 꼭 익혀 드세요 (KISTI) 견과류 등 식물의 씨앗이 건강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다양한 씨앗들을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씨앗은 독성이 있어 함부로 먹으면 안 된다. 가을에 길거리에서 많이 줍는 은행은 메칠피리독신이라는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메칠피리독신을 한번에 많은 .. KISTI와과학 2012.10.05
아토피·천식 주범, 집먼지진드기 퇴치법 (KISTI) 집먼지진드기는 0.1~0.5mm 크기로 사람의 피부 부스러기 등을 먹으며 침구, 방바닥 등에 서식한다. 아토피피부염이나 알레르기비염, 천식 등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없을까? 김준형 연세대 의대 교수팀이 2006년 ‘천식 및 알레르기(Journal Of Asthma, Allergy.. KISTI와과학 2012.10.04
한가위 햅쌀밥, 더 맛있는 이유는? (KISTI)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우리 민족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추석이다.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먹고, 보름달을 보며 소원 빌고, 강강술래를 하고 놀며,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하는 풍요로운 날이다. 이렇듯 ‘추석’ 하면 다양한 것들이 떠오르는데, 그중 빼놓을 수 없.. KISTI와과학 2012.10.02
젤리만들기 (KISTI) 쫀득쫀득~ 말랑말랑~ 형형색색 다양한 모습의 젤리는 언제나 먹어도 맛있는 간식이지요. 주스처럼 액체도 아니고, 사탕처럼 고체도 아닌 젤리는 참 알쏭달쏭한 친구에요. 학교 과학시간에 우리는 물질의 분류를 물질의 상태에 따라 기체와 액체, 고체로 나눈다고 배웠어요. 그런데 젤리.. KISTI와과학 2012.09.27
고기 구울 때 석쇠가 좋을까, 불판이 좋을까? (KISTI) 고기는 익히는 정도에 따라 맛이 달라지지만 굽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서도 맛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고기를 구울 때 석쇠가 좋을까, 불판이 좋을까? 고기의 맛은 둘째 치고, 건강을 위해서는 불판으로 굽는 것이 좋겠다. 최근 식품의약안전청은 ‘석쇠를 이용해 음식을 굽거나 튀기면 유.. KISTI와과학 2012.09.26
환경호르몬↑, 저체중아 출산율 ↑ (KISTI) 환경호르몬에 많이 노출될수록 저체중 아이를 출산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양재호 교수팀은 대구와 경북 포항에 사는 여성 70명과 이들의 아기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의 제대혈에서 과불화물질(PFC) 농도를 측정한 결과, .. KISTI와과학 2012.09.25
차세대신교통시스템,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KISTI) 한국 대도시 교통망의 핵심은 버스와 지하철이다. 전통적으로 버스는 단거리 이동을, 지하철은 중장거리 이동을 담당했으나 근래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확대되면서 버스의 중장거리 부담률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버스와 지하철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틈새가 있다. 한국의 대도시 .. KISTI와과학 2012.09.24
앨버트로스는 어떻게 천리를 날 수 있을까 (KISTI) 지구상에서 날 수 있는 가장 큰 새로 꼽히는 앨버트로스(albatrosses)는 활짝 편 날개 길이가 3.7m, 몸무게는 8~10kg이나 된다. 하지만 날개 짓 없이 우아하게 활공한다. 최근 과학자들이 앨버트로스의 몸에 GPS를 달아 아름답게 활공할 수 있는 이유를 알아냈다. 독일 뮌헨대 요한 트라우고트 박.. KISTI와과학 201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