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와과학 2997

기린의 긴 목, 코끼리의 만능 코의 비밀

긴 코를 손처럼 쓰는 코끼리, 목 길이만 2m가 넘는 기린, 30일 동안 물을 마시지 않아도 살 수 있는 낙타 등, 동물들은 저마다 신체적 특징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과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환경에 적응해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라는 진화론적인 관점으로 해석해 왔다. 그러나 여전히 동물들의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게 됐는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풀어야 할 비밀이 남아있다. 그런데 최근 코끼리와 기린의 신체적 비밀에 대해 새롭게 밝힌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기린의 목이 긴 이유는 짝짓기를 위한 박치기 싸움 때문?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고인류학연구소 덩타오 박사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기린의 목이 긴 이유가 짝짓기를 위한 박치기 싸움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

KISTI와과학 2022.09.26

기후 변화를 막으려면 원자력 에너지가 필요할까요?

과학계와 환경단체 그리고 언론 사이에서는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력을 시한폭탄으로 보는 사람들에게 이건 말도 안 되는 소리였습니다. 그럼, 누가 맞는 걸까요? 그게, 좀 복잡합니다. 급격한 기후 변화를 늦추기 위해서는 온실 기체의 순 배출량을 0으로 줄여야 합니다. 2018년 전세계 배출량의 3/4이 에너지 생산으로 발생했습니다. 쉽게 말해 화석 연료를 태워서요. 에너지는 온갖 활동에 갖다 쓸 수 있는 단어입니다. 물건을 옮기고 사람을 태우는 데에도 크고 작은 물체들을 서로 붙이는 데에도 집 안을 덥히는 데에도 쓰이죠. 전세계 1차 에너지의 84%를 화석 연료가 생산하고 있습니다. 석유가 33%, 석탄이 27%, 천연가스가 24%를 생산하죠. 전 세계 석유의 약 10%가 단..

KISTI와과학 2022.09.23

여성과 남성에게 다른 효력으로 작용하는 아스피린

아스피린은 남성과 여성에게 같은 효과를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아스피린을 한 알씩 꾸준히 복용하면 심근경색이나 뇌혈관 질환(CVA: cerebrovascular accident)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스톤의 브리그햄 여성병원(Brigham and Women's hospital)의 Paul Ridker 박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한 여성들에게서 뇌혈관 사고(CVA)가 17% 감소하였고 허혈 발작만을 따지면 24%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아스피린의 혜택은 특히 나이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한 경우 64세 이상이 되었을 때 뇌혈관 사고의 위험은 30%가 줄고 심근경색은 34%가 줄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아스피린의 효과는 남..

KISTI와과학 2022.09.22

비타민D 섭취로 수면장애, 치매 동시 개선 가능

비타민D가 수면 장애를 개선하고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과 함께 교대 및 비교대 근무자의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타민 D가 혈중 칼슘 농도 조절을 통해 수면 및 일주기 리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교대 근무자는 업무 특성상 2교대 또는 3교대로 근무하기 때문에 비교대 근무자에 비해 불규칙한 생활 패턴을 갖게 된다. 불규칙적인 수면으로 인해 생체 리듬이 깨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면증, 수면 장애, 만성 피로, 우울증,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 근무하는 총 353명의 근무자(교대 150명, 비교대 203명)를 대상으로 비타민D와 칼슘 농도를 측정하고, 수면 패턴 데..

KISTI와과학 2022.09.21

근심 걱정은 치매를 부른다

시카고러쉬대학교 메디컬센터는 65세 이상의 백인과 흑인 1,06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걱정 및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후 3년부터 6년이 경과된 시점에 이들중에서 누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렸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걱정이 많고 스트레스에 민감한 사람들일수록 노년기에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할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하며, 이러한 경향은 흑인보다는 백인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단계에서는 비록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얻을 수 있는 건강상의 잇점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지나친 스트레스는 피하는것이 좋다.

KISTI와과학 2022.09.20

계절마다 다른 밤의 길이를 알린 자격루의 원리

지난해 6월, 과거 한양의 중심지였던 인사동을 발굴 조사하던 중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문화층에서 도기 항아리가 발견되었다. 이게 끝이 아니었다. 항아리가 발견된 곳 일대에서 자격루 부속품과 함께 여러 유물들이 발견된 것이다. 이 덕분에 문헌으로만 전해오던 자격루 시보장치의 구체적인 원형이 최근 밝혀졌다. 낮 시간과 밤 시간을 다르게, 조선의 시간 체계 조선 시대에는 낮과 밤의 시간을 표현하는 방법이 달랐다. 낮 시간은 하루를 2시간씩 일정하게 12등분하여 12간지로 표현한 정시법을, 밤 시간은 해가 진 시점부터 다음날 해가 뜨기까지를 밤으로 여기고 이를 25등분하는 부정시법을 사용하였다. 부정시법은 계절마다 밤의 길이가 달라지지만, 일정한 시계가 없던 백성들에게는 생활 속에서 해가 지고 뜨는 것을 보고 ..

KISTI와과학 2022.09.19

체온계는 한번 올라가면 내려가지 않는 것은 왜일까?

체온계는 온도계와는 달리 한 번 체온을 재면 그 수은주가 온도계처럼 쉽게 내려오지 않는다. 체온계나 온도계 모두 수은을 이용해 온도를 표시하는데 왜 이처럼 차이가 날까? 그 비밀은 수은이 들어있는 유리관에 있다. 보통 온도계는 수은이 담겨있는 둥근 부분과 눈금이 있는 부분의 통로가 넓어 높은 온도에서 팽창한 수은이 온도가 내려가도 둥근부분으로 쉽게 모일 수 있다. 그러나 체온계의 경우는 둥근부분과 유리관 사이가 가늘고 잘룩하게 구부러져 있어 온도가 올라가 팽창된 수은이 쉽게 둥근부분으로 내려갈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체온을 잴 때까지 남아있는 수은주를 볼 수 있으며 다시 체온을 재기 위해서는 체온계를 흔들어 수은이 동근부분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KISTI와과학 2022.09.18

고구마 잎에서 기능성 성분, 루테인

고구마 잎은 비타민과 미네랄, 폴리페놀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고영양 기능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질환(眼疾患) 예방성분으로 잘 알려진 루테인이 고구마잎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규슈 오키나와 농업연구센터에서는 고영양 기능성 식품인 고구마잎을 이용하여 「스이오오」(すいおう; 翠王)라는 품종을 육성하고, 고구마 입줄기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기능성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연구결과 싱싱한 스이오오의 잎에는 100g당 약 20mg의 루테인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일본에서도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노인성 황반병성증에는 하바드 대학의 연구에서 1일당 6mg의 루테인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는데, 이는 스이오오의 생엽으로 약 30g이에 상당한다(시금치로는 약 60g). 스이오오의 잎을 야채..

KISTI와과학 2022.09.17

다양하고 신기한 박테리아 기네스북

사람으로 치면 에베레스트? 2억 5천만 년간 살아남기? 우주, 성층권에서도 생존? 다양하고 신기한 박테리아 기네스북 보통 세균이라 불리는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와 함께 각종 감염병을 일으키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 반면 유산균과 같이 우리 몸 속에 머물면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경우도 많다. 이런 박테리아의 종류와 개체수는 쉽게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많다. 당장 피부, 입안, 창자 등에서 우리와 공생하는 박테리아만 해도 무게 약 2kg, 숫자는 100조 개가 넘는다. 이런 박테리아는 다양한 종류만큼이나 서식환경과 특징도 가지가지다. 작지만 다양한 미생물, 박테리아의 다양한 기록을 살펴보며 생명의 신비를 알아보자. 가장 큰 박테리아: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nifica)..

KISTI와과학 2022.09.16

온도계의 눈금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무언가 재기 위해서는 기준점이 필요한데 우리가 섭씨로 사용하는 온도의 기준은 순수한 물이 1기압에서 얼 때 그 어는점을 섭씨 0도, 그리고 물이 끓는 점을 섭씨 100도로 한다. 그럼 온도를 재는 온도계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보통 온도계속에 들어있는 물질은 알코올이나 수은이다. 알코올이나 수은을 사용하는 이유는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 변화의 폭이 커 쉽게 그 차이를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온도계의 눈금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알코올이나 수은이 들어있는 유리 막대를 1기압인 상태인 순수한 물 속에 넣은 후 온도를 낮춰 물이 얼기 시작하면 유리 막대에 표시를 합니다. 그 표시가 0도가 되는 거구요 다시 물을 가열시켜 물이 끓으면 그 유리 막대에 표시를 하는데 그게 100도가 됩니다. ..

KISTI와과학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