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안에 숨겨진 지방을 찾아라 (KISTI) ◈ 몸안에 숨겨진 지방을 찾아라 단지 30초 동안 움직이지 않고 서 있기만 해도 신체에서 지방이 있는 부분과 그 양을 정확히 측정해줄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있다. 이 체지방 측정기는 신체에 분포되는 전자장을 측정하는 기술과 신체를 3차원 영상으로 합성해 보여주는 2가지 기술을 동.. KISTI와과학 2014.03.02
뚱뚱한 사람, 미세먼지도 많이 먹어 (KISTI) 캐나다 몬트리올대 피어 브로츠 교수팀은 ‘뚱뚱한’ 사람이 ‘날씬한’ 사람보다 미세먼지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에 따라 비만으로 분류된 남녀 1,069명과 그렇지 않은 남녀 902명의 소변 샘플을 받아 여기에 녹아있는 중수소와 중산소가 사라지는 시.. KISTI와과학 2014.03.01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인류의 생활은 훨씬 편리해졌지만 남이 나의 이야기를 엿들을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함께 커졌다. 통화나 대화의 내용을 가로채는 ‘도청’ 때문이다. TV 드라마에서는 비밀이 새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탁 트인 공원 벤치를 찾아 정보를 교환하는 장면이 종종 .. KISTI와과학 2014.02.28
감기전염, 재채기보다 콧물을 조심하라 (KISTI) 미국 버지니아대학 소아전염병학자 J. 오웬 헨들리 교수는 감기 환자의 콧물이 가장 손쉬운 전염 경로가 된다고 밝혔다. 감기 환자의 절반 정도가 감염되는 리노바이러스가 코와 기도 내부의 세포에 증식하기 때문이다. 물론 침(타액)에도 리노바이러스가 들어 있지만, 감기 환자의 콧물.. KISTI와과학 2014.02.27
버려지는 태양에너지, 전기로 생산 한다 (KISTI)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버려지는 태양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에너지 융합발전시스템’을 개발했다. 기계연 나노역학연구실의 한승우 박사팀은 태양전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존 태양전지는 가시광선 영.. KISTI와과학 2014.02.26
비트코인의 암호화 원리 (KISTI)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와 인터넷이 발전하며 우리는 여태까지 상상하지도 못했던 것들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됐다. 현실에서는 가난하지만 사이버 세계에서는 부자가 될 수 있는 것도 그중 하나이다. 그런데 예전에는 사이버세계에서 부자는 현실세계의 부자가 되지 못.. KISTI와과학 2014.02.25
유전자 기능 정의된 세계 최초 유전자 사전 (KISTI) ◈ 유전자 기능 정의된 세계 최초 유전자 사전 현재 과학자들은 게놈 연구를 통해 인체라는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약 3만 개의 단어, 즉 유전자를 알고 있다. 그러면 이 단어들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스탠포드 의과대학의 발달생물학 및 유전학 부교수인 스튜어트 김(Stuart Kim) 박사.. KISTI와과학 2014.02.24
스낵류 아침식사, 청소년들의 뇌기능 저하시킨다? (KISTI) ◈ 스낵류 아침식사, 청소년들의 뇌기능 저하시킨다? 영국의 리딩대학(The University of Reading) 연구팀은 9세에서 16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유형을 연구했는데, 전통적인 아침식사를 하고 난 뒤 정신적인 업무를 더 잘 수행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반면 소다나 초콜릿 등으로.. KISTI와과학 2014.02.23
부엌이 살아 움직인다! (KISTI) 우리나라의 경우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부엌은 실내라기 보다는 실외로 인식되는 가정의 공간이었다. 방을 나가서 신을 신어야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장작이나 짚으로 불을 지펴서 밥을 하고 낮은 부뚜막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요리를 해야 하는 곳. 그래서 어머니들의 애환이 서.. KISTI와과학 2014.02.22
칼슘 보충이 대장균 설사에 효과적 (KISTI) ◈ 칼슘 보충이 대장균 설사에 효과적 칼슘을 섭취할 경우, 장에 독성 대장균이 서식하는 것을 억제해 설사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네덜란드의 과학자들은 칼슘 보충이 쥐의 살모넬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발표.. KISTI와과학 201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