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보다 빠르게 이동할 순 없을까? (KISTI) 영화 ‘터미네이터’ 터미네이터 시리즈는 인간과 기계의 대결이라는 구도와 함께 시간 여행을 다루고 있다. 미래의 인간과 기계 집단이 각각 현재에 용사를 보내 미래를 바꾸거나 지키려고 한다. ‘터미네이터2’에 이르면 미래에서 과거로 로봇을 보내 일어난 결과가 현재에도 영향을.. KISTI와과학 2014.02.10
햇볕 차단제와 벌레 퇴제제를 같이 바를 수 있을까? (KISTI) ◈ 햇볕 차단제와 벌레 퇴제제를 같이 바를 수 있을까? 캐나다의 한 약학과 교수는 벌레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피부에 뿌리는 벌레 퇴치제와 화학성분 옥시벤존이 포함된 햇볕 차단제 제품을 함께 바르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함께 바를때 부작용으로“.. KISTI와과학 2014.02.09
유전자 조작해 외상 후 스트레스 없앤다 (KISTI)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유전자 조작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PTSD는 신체적인 손상과 생명의 위협을 받은 사고에서 심적외상을 받은 뒤에 나타나는 질환이다.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신경생물학자 리-후에이 짜이 연구팀은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낯선.. KISTI와과학 2014.02.08
[keyword로 읽는 과학] (2)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소설 속의 유명 탐정 ‘셜록 홈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영국 드라마 <셜록(Sherlock)>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드라마에서 홈즈는 뛰어난 추리력을 갖고 있지만 성격이 괴팍하고 별나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다. 한 예로 홈즈로부터 무시당한 한 법의학자는 그를 ‘사이코.. KISTI와과학 2014.02.07
고래의 삶은 귀지에 담겨 있다 (KISTI) 고래의 귀지에는 고래의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베일러대학 연구팀은 고래의 귀지에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것보다 많은 정보가 담겨 있음을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고래의 귀지에는 호르몬의 변동이나 어떤 화학물질에 노출됐는지 기록돼 있어, 이를 분석.. KISTI와과학 2014.02.06
거북목이 목디스크 유발한다 (KISTI) 하루 24시간 중에 목이 일자로 있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 컴퓨터 화면을 쳐다볼 때, 식사할 때, 독서할 때도 자연스레 목을 숙이게 된다. 더군다나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늘면서 목이 일자로 있는 시간은 더욱 줄었다. 이렇다 보니 최근 우리 주변에 목디스크 환.. KISTI와과학 2014.02.05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 철새들이 떼죽음을 당한 이유는? 지난 1월 17일, 고병원성 조류독감(AI, Avian Influenza) 관련 역학조사를 위해 전북 고창 동림 저수지를 찾았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직원들은 놀라고 말았다. 해마다 겨울이면 이곳을 찾아 환상적인 군무(群舞)를 선사했던 가창오리 무리가 떼죽음을 당.. KISTI와과학 2014.02.04
눈이 오면 조용해지는 이유? (KISTI) ◈ 눈이 오면 조용해지는 이유? 눈 결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입자와 입자 사이에는 많은 틈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흡음재의 구멍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주변의 소리가 수많은 구멍의 여기저기에 부딪치고 반사되는 사이에 소리가 갖고 있는 에너지 대부분이 열로 바뀌는 것이다... KISTI와과학 2014.02.03
음식을 꼭꼭 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 (KISTI) ◈ 음식을 꼭꼭 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맛을 느끼는 것은 씹을 때의 자극이 치아 주위에 있는 자극 수용기를 거쳐 뇌의 감각 중추로 전달되기 때문. 따라서 많이 씹고 입안의 감각을 활발히 하면 뇌의 신경 회로가 활발히 움직일 뿐 아니라 뇌 기능도 발달돼 머리.. KISTI와과학 2014.02.02
몽글몽글 인공눈 만들기 (KISTI) 지금으로부터 약 80여 년 전, 일본 홋카이도에는 눈(雪)에 대한 연구로 한창인 과학자가 있었다. 겨울이면 홋카이도에서 지겨울 정도로 많이 볼 수 있던 눈은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연구 재료였다. 당시 연구 장비로는 카메라와 현미경이 전부였다. 그는 홋카이도대학과 해발 2,000m가 .. KISTI와과학 201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