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한억제제 많이 바르면 체온조절 못할까 (KISTI) 겨드랑이나 손바닥 등 유난히 땀이 많은 사람들은 사회생활을 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는다. 때문에 발한억제제를 발라 땀 배출을 인위적으로 차단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발한억제제를 많이 발라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일까. 우리 몸은 땀을 흘려 체온을 내린다. 발한 작용은 체온 조절을 .. KISTI와과학 2013.02.25
미래기술 (2) (KISTI) 2013년 KISTI의 과학향기에서는 올 한 해 동안 매월 1편씩 [FUTURE]라는 주제로 미래기술을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칼럼에서 언급된 미래기술은 KISTI에서 발간한 <미래기술백서 2013>의 자료를 토대로 실제 개발 중이며 10년 이내에 실현 가능한 미래기술들을 선정한 것입니다. 미래.. KISTI와과학 2013.02.23
볏잎이 항상 깨끗함을 유지하는 비결! (KISTI) 벼가 스스로 깨끗함을 유지하는 비결이 밝혀졌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와 이승구 박사 연구팀이 볏잎 표면을 관찰한 결과, ‘자기세정’ 기능을 나타내는 구조를 알아냈다. 볏잎 표면은 빽빽히 자리 잡은 수백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크기의 왁스 결정과 이보다 100배 정도 큰.. KISTI와과학 2013.02.21
커피믹스 지방, 돼지고기 급이라고? (KISTI) 인스턴트 커피믹스에 함유된 지방이 돼지고기 급에 맞먹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황금택 교수팀은 국내 시판 중인 커피 크리머 14종과 커피믹스 10종의 지방함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커피 크리머의 지방함량률이 15.4~28.5%로 집계됐는데, 여기서 놀라운 점은 삼겹.. KISTI와과학 2013.02.20
심장이 두근두근! 사랑일까, 뇌의 착각일까? (KISTI) 드디어 발렌타인데이! 태연은 앞치마를 두르고 주방을 온통 쑥대밭으로 만든 채 무언가를 만드느라 정신이 없다. “으… 짜증나, 으~ 짜증나! 도대체 왜 모양이 예쁘게 나오지를 않냐고! 혹시 초콜릿이 별로 안 좋은 건가? 아님 모양 틀이 미운건가? 아아, 어떡하지?” “태연아, 도대체 누.. KISTI와과학 2013.02.18
치아 뿌리는 이 유전자 덕분~ (KISTI) 치아 뿌리를 만드는 유전자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전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조의식 교수팀은 생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베타카테닌을 만들지 못하게 하자 치아 뿌리가 만들어지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베타카테닌은 치아의 상아질을 만드는 상아모세포에 많은 단백질이다. 이 실험.. KISTI와과학 2013.02.17
직장에서 행복하려면 ○○ 있어야 한다? (KISTI) 직장에서 행복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직책? 연봉? 동료들과의 친밀감? 아니다. 최소한의 ‘권력’이 직장인들의 행복감을 높여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연구팀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느끼는 권력의 정도와 직장, 친구들과의 관계,.. KISTI와과학 2013.02.15
NEXT 나로호, 미리 보는 한국의 달 탐사 (KISTI) 2013년 1월 30일은 나로호 발사에 성공한 역사적인 날이다. 그간 2번의 발사 실패와 8번의 발사 연기 등 우주의 문을 열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10년에 걸쳐 꾸준히 도전한 결과, 세 번째 도전에서 무사히 300km의 우주궤도에 도달했다. 나로호의 성공으로 우주로 한 발 더 나.. KISTI와과학 2013.02.14
일반 비누와 세탁 비누의 차이점 (KISTI) 세안용 비누와 세탁 비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우선 용도가 다르다. 세안용 비누는 얼굴과 손 등 우리 몸을 깨끗이 씻는데 사용하고, 세탁용 비누는 섬유의 때를 깨끗이 빼는데 사용한다. 바로 이 용도의 차이 때문에 들어가는 성분이 다르다. 세탁 비누에는 기존 비누에 섬유를 더 희고 .. KISTI와과학 2013.02.13
공부, 혼자보다 여럿이 해야 성적↑ (KISTI) 흔히 공부는 혼자 집중하고 해야 잘 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최근 혼자보다 동료들과 공부할 때 성적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연구팀이 2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상호 작용을 8만 회 정도 관찰했다. 그 결과 상호간 의견을 교환하는 .. KISTI와과학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