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에도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KISTI) ‘58년 개띠’. 웬만해선 어디 가서 머릿수로 밀리지 않는 나이다. 이 연배를 포함하는 1955년부터 196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베이비붐 세대’라 부른다. 약 900만 명에 이르는 이들은 머릿수로 밀리지 않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주요한 사회문화적인 분위기를 이끌어왔다. 50대에 접.. KISTI와과학 2013.04.04
가래 생기면 뱉는다 vs 삼킨다, 뭐가 맞을까 (KISTI) 가래가 생기면 뱉는 게 좋을까, 삼키는 게 좋을까. 가래는 감기에 걸렸거나 담배를 피는 경우, 오염된 야외 공기를 많이 마셨을 때 생기기 쉽다. 가래는 기관지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되는 기관지점액에 기도로 들어오는 불순물, 세균 등 호흡기로 들어오는 불순물이 합쳐진 것이다. .. KISTI와과학 2013.04.03
예쁜 어미 새 아래 건강한 새끼 새 자란다? (KISTI) 어미 새의 외모가 자식들을 기르는데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체코 팔라츠키대 블라미디르 레메스 교수팀은 박새를 대상으로 가슴의 줄무늬와 볼의 색이 다른 어미 새 두 마리의 새끼를 바꿔 기르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줄무늬와 볼의 하얀 털이 더 선명하고 화.. KISTI와과학 2013.04.01
향기가 폴폴~ 방향제 만들기 (KISTI) 인간이 향을 처음으로 이용한 곳은 종교 의식에서였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5,000년 전, 향기가 있는 식물을 태워 그 향을 이용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향은 왕족이나 귀족들의 사치품으로 사랑받게 됐으며 훗날 그 범위가 일반인들에게까지 확대되며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향.. KISTI와과학 2013.03.31
비아그라 출생의 비밀 (KISTI) ‘우물 파다 노다지를 캐다’, ‘소 뒷걸음질 치다 쥐를 잡다’. 어떤 행동이 생각지 못한 행운을 가져온 상황을 비유할 때 쓰이는 속담이다. 이 속담들은 새로운 약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곧잘 어울리는 비유가 된다. 역사적으로 특정 용도로 개발된 의약품이 우연히 다른 용도로 쓰이면.. KISTI와과학 2013.03.30
휴대전화 전자파, 호흡기 질환 유발 (KISTI)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준 교수팀은 기도의 점막 섬모를 채취해 휴대전화의 전자파와 동일한 전자파를 가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코 점막의 섬모 운동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 KISTI와과학 2013.03.29
키는 얼마나 유전될까 (KISTI) 국내 연구진이 키, 비만, 골밀도, 혈압 등 우리 몸의 49가지 형질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대 연구팀은 한국인 8842명을 대상으로 유전인자 30만개를 분석해 유전인자가 우리 몸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인자가 키에 미치는 영향.. KISTI와과학 2013.03.28
빛을 휴대하는 법! 휴대용 손전등 만들기 (KISTI) 전등의 발명은 인간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햇빛은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만 하늘에서 비출 뿐, 인간이 인위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었다. 약 50만 년 전 인류가 ‘불’을 발견한 이후에야 불빛을 인위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후 램프나 양초, 가스등, 석유램프 등이 발.. KISTI와과학 2013.03.27
어릴 때 받은~ (KISTI) 어린 시절 학대를 받은 아이는 성인이 된 이후 자폐증을 가진 자녀를 낳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왔다. 미국 하버드 보건대학교(HSPH) 안드레아로버츠 박사팀은 ‘간호사 건강조사(Nurses Health Study II)’에 참여 중인 5만여 명의 미국여성간호사(25~44세)를 대상으로 어린 시절 신.. KISTI와과학 2013.03.26
식사 후 졸리지 않은 음식은 없을까? (KISTI) 식사를 마치고 나면 어김없이 몸이 나른해지면서 졸음이 몰려온다. 따뜻한 곳에 있으면 그 증세는 더욱 심해진다. 식사 후에 졸리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식후에 졸지 않도록 하는 식사법의 핵심은 식전에 물을 두 잔 마시는 것과, 배를 80% 채울 정도의 양을 최대한 천천히 먹는 것이다. .. KISTI와과학 2013.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