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소녀의 폭력성, 운동으로 잠재우기 (KISTI) 운동의 효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꾸준한 운동이 10대 소녀의 폭력성도 줄여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연구팀은 2008년 뉴욕 지역 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분석했다. 설문조사의 문항 중에는 운동 주기, 지난 4주간 가장 오래 달린 시간, .. KISTI와과학 2013.05.15
호흡과정을 한눈에! 허파모형 만들기 (KISTI) 인체는 그 어떤 정밀한 기계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인체를 지탱하는 기둥은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위에는 근육이 붙어 있다. 근육은 우리가 몸을 움직이는데 꼭 필요한 기관이다. 근육 속의 아주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몸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근육은 힘.. KISTI와과학 2013.05.14
흰머리 예방법은 없을까? (KISTI) 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하나둘 생기기 시작한다. 염색을 해도 다시 자라는 흰머리, 미리 흰머리가 자라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영국 브래드포드 대학과 독일 E.M. 아른트 대학 공동연구팀이 흰머리가 나는 이유를 밝히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 KISTI와과학 2013.05.13
설탕이 간에 미치는 영향, 술과 비슷? (KISTI) 설탕이 몸에 해로운 정도가 술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설탕이 녹으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리된다. 포도당은 위에서 소화돼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만 과당은 간세포가 처리한다. 이때 과당이 간에 주는 부담은 술의 원료인 에탄올을 처리할 때와 비슷하다는 것. 단백질에 달라.. KISTI와과학 2013.05.12
마흔살의 어린 아이, 휴대전화 (KISTI)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3년 4월 3일, 미국 통신회사 AT&T가 설립한 벨연구소에 전화벨이 울렸다. 조엘 엥겔(Joel Engel) 소장이 직접 받았다. “여보세요, 엥겔 소장입니다.” “조엘? 나 마틴일세. 지금 이 통화 말이지. 새로 개발한 휴대전화로 거는 거야.” “.....” “여보세요, 조엘?” 충.. KISTI와과학 2013.05.09
암기할 때는 오른손 주먹을 쥐어라? (KISTI) 무언가를 외우거나 기억할 때 오른손 주먹을 쥐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저지주 몽클레어주립대 루스 프로퍼 심리학과 교수팀은 오른손잡이 50명을 대상으로 다섯 그룹으로 나눠 심리학자가 만든 기억실험용 단어 72개를 외우고 이를 기억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 KISTI와과학 2013.05.08
햇빛 아래 활동하는 어린이 근시 위험↓ (KISTI) 실외에서 활동을 많이 하는 아이일수록 근시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타이완 가오슝 창궁기념병원의 페이 창 박사팀은 가오슝의 한 초등학교 333명을 1년간 야외에서 80분간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인근 다른 학교 학생에게는 야외 휴식을 더 많이 취하지 않게 했다. .. KISTI와과학 2013.05.07
‘스마트’한 안경으로 보는 놀라운 세계~ (KISTI)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PC, 스마트 TV….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스마트’란 단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주요 IT 업계에서는 ‘스마트’의 다음 전장이 ‘스마트 안경’이 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스마트 안경과 스마트 시계 등 몸에 부착하.. KISTI와과학 2013.05.06
새끼 새도 배고프면 ‘연기’ 한다 (KISTI) 새끼 새들이 배가 고파지면 어미 새에게 소위 ‘연기’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의 알렉스 톰슨 박사팀은 남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에 사는 ‘얼룩무늬 꼬리치레’의 생태를 3년 동안 추적했다. 특히 갓 날기 시작해 이동이 자유로운 새끼 새를 중심.. KISTI와과학 2013.05.05
지하철․엘리베이터, 휴대전화 전자파 급증 (KISTI)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에서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에서 특히 급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2012년 운행 중인 지하철과 엘리베이터에서 전화통화 시 발생하는 휴대전화의 전자파를 측정했다. 그 결과 지하철에서는 평균.. KISTI와과학 201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