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자에게 지식은 행동으로 옮겨지기 전까지는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다. 경영자가 자신의 시간을 어떻게 소비하는지 결정할 수 없다면 실행 계획은 아무 쓸모가 없을 것이다. - 33쪽
시간관리 3단계 : 기록, 관리, 통합 - 35쪽~58쪽
절차적인 업무로 만드는 것은 이전까지는 그 일을 하는 데 능숙한 천재적인 인간을 필요로 했지만 이제는 미숙한 근로자가 별다른 판단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 46쪽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들은 주변 모두에게 당신이 우리 조직에 공헌해야 할 몫을 다하기 위해 내가 당신에게 해야 할 공헌은 무엇인가, 당신은 언제 어떻게 어떤 형태로 나의 공헌을 필요로 하는가 하고 질문한다. - 60쪽
성과의 세 가지 주요 영역 ① 직접적 결과 산출 ② 가치 창출과 그의 재확인 ③ 인재 확보 개발 - 69쪽~79쪽
공헌에 몰입한다는 것은 목표달성에 대한 책임을 약속하는 것이다. 이 약속이 없다면 자신을 속이고 조직을 쇠퇴시키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기만하는 셈이다. - 78쪽
성과는 강점을 기반으로 할 때만 세울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맡겨진 과제를 수행해낼 수 있는 능력이다. - 109쪽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들은 최고의 인재를 문제가 있는 곳보다는 기회가 있는 곳에 배치한다. - 144쪽
상사의 강점 활용하기 ① 상사 목록 ② 상사의 공헌(도움 요청) ③ 상사의 공헌(협조 지원) ④ 상사의 강점 활용 ⑤ 보고(피드백) ⑥ 뜻밖의 상황이 생겨 당황하지 않도록 상사 보호 - 152쪽~167쪽
당신에게 필수적인 변화를 제공해 줄 제2의 경력을 갖는 것에 대해 고려해 보라 - 190쪽
집중하는 것은 지식근로자가 시간과 사건들의 시종 노릇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의 주인이 되는 유일한 방법이다. - 194쪽
목표를 달성하는 지식근로자는 시간과 경쟁하지 않고 더욱 중요한 일을 먼저 하는 데에 가진 것을 집중시킨다. - 194쪽
지식근로자의 노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제1의 법칙은 더 이상 생산적이지 않은 과거와 단절하는 것이다. - 197쪽
최고 경영진 본래의 일은 어제 시작된 위기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과 다른 내일을 만드는 것이다. - 211쪽
우선순위 설정 법칙 ① 과거가 아닌 미래를 판단 기준으로 선택 ② 문제가 아닌 기회에 초점 ③ 인기 있는 것에 편승하기보다 자신의 독자적 방향 선택 ④ 쉬운 목표가 아닌 뚜렷한 차이를 낼 수 있는 좀 더 높은 목표를 노려라 - 216쪽
의사결정은 경영인의 여러가지 일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지만 경영인 고유의 일이다. - 221쪽
목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의 여섯 가지 요소 ① 문제 분류 ② 문제 정의 ③ 의사결정의 명세서 ④ 올바른 것의 판단 ⑤ 실행방법의 구체화 ⑥ 의사결정과 실제 결과의 비교 검토 - 225쪽~243쪽
의사결정의 첫 번째 규칙은 의견의 불일치가 없는 상황에서는 결정을 하지 않는 것이다. - 248쪽
피터 드러커 플레너, 피터 드러커/조지프 마셔리엘로, 이재규 옮김
'책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한 게 빠른 의사결정에 방해가 되면 그건 단점이지 (0) | 2022.04.16 |
---|---|
위기요법은 담쌓기다 (0) | 2022.04.14 |
명예는 젊어서부터 지켜야 한다 (0) | 2022.04.10 |
세계라는 건 말이야 결국 개인의 경험치야 (0) | 2022.04.09 |
인생은 직선이 아니다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