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생명에는 한계가 있지만 지식에는 끝이 없다. 끝이 있는 것을 가지고 끝이 없는 것을 추구하면 위태로울 뿐이다(장자) - 18쪽
Happy와 Birthday가 어긋나기 시작하면 늙는다 - 27쪽
인간이 아무리 잘난 척해도 결국은 자신이 속한 땅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마샬) - 31쪽
삶은 결핍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나의 관점을 바꿔 있는 그대로를 수용할 때 비로소 안분지족이 가능하다. - 42쪽
인생은 직선이 아니다. 뜻대로 되는 일보다 안 되는 일이 더 많다는 것을 빨리 깨달을수록 삶이 조금은 쉬워진다. - 50쪽
운이라는 것은 우리가 생명체로서 매 순간 변화하는 삶을 산다는 뜻이다. 어떤 삶도 그 흐름이 같은 경우는 없다. - 61쪽
삶 전체가 눈물을 요구하는 데 그 단편을 놓고 흐느껴봐야 소용이 없다(세네카) - 63쪽
이 모든 것이 당신 탓만은 아니다. 하지만 바로 잡을 수 있는 사람은 당신밖에 없다. - 80쪽
삶의 모든 것은 이중적이다. 생성과 소멸, 빛과 어둠,,, 삶은 우리를 시험에 들게도 하지만 살아나갈 길도 마련해준다. - 114쪽
명리학으로 보는 다섯 가지 성격 유형 ① 성취욕구가 큰 행동지행형 ② 책임감이 강한 자기절제형 ③ 이재에 능한 현실추구형 ④ 생각이 깊은 사고지향형 ⑤ 과감하고 자긍심이 강한 권력추구형 - 207쪽~218쪽
때로는 내 삶에 천적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 219쪽
주역의 64괘를 살펴보면 대부분 좋고 나쁜 것이 반씩 섞여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좋다고 하는 것은 겸허할 것을 주문하는 겸괘 하나 뿐이다. 이는 겸허한 태도가 삶의 큰 무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224쪽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내 마음에 들게 상대를 바꿔주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거기에서 갈등이 생겨난다. 갈등을 물리학적으로 표현하면 작용과 반작용의 마찰이라 할 수 있다. - 230쪽
인격적 성숙(칼 메닝거) ① 현실을 건설적으로 다루어나갈 수 있는 능력 ②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③ 긴장과 불안으로부터 비롯된 증상을 완화하는 능력 ④ 받는 것보다 주는 것에 더 만족하는 능력 ⑤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인간관계를 맺는 능력 ⑥ 본능적인 공격성을 창조적, 건설적으로 승화하는 능력 ⑦ 사랑할 수 있는 능력 - 235쪽~236쪽
살아가면서 감당하기 힘든 좌절의 순간이 닥쳤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일어서고자 노력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 256쪽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어주는 것은 자신에게 물음을 던지는 능력이다. 질문으로 가득할 때 얼굴은 가장 진실하다. - 269쪽
완전한 거란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것은 신뢰도가 높고 어떤 것은 불확실성이 덜 클 뿐이다. 세상이 우리에게 허락해준 방식이다. 짧고 짧은 인생 동안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션 캐럴) - 277쪽
왜냐는 질문에 최종적인 해답은 없을지 모르기 때문에 아직도 우리에게는 수없이 많은 질문이 남아있다. - 277쪽
이번 생은 망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다음 생이라고 해서 내 마음대로 되지는 않을 게 분명하므로 그냥 이번 생에 올인하는 편이 가장 현명한 자세일 것이다. - 291쪽
명리 심리학, 양창순
'책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예는 젊어서부터 지켜야 한다 (0) | 2022.04.10 |
---|---|
세계라는 건 말이야 결국 개인의 경험치야 (0) | 2022.04.09 |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겸손합니다 (0) | 2022.04.05 |
인간은 논리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동물이다 (0) | 2022.04.03 |
더 나은 선택을 해야만 인생도 나아질 것이다 (0) | 2022.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