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공중보건 대책은 온대지역의 추운 겨울 - 30쪽
기본적인 원인을 확인하는 데서 그치지 말고 궁극적인 원인을 찾아라. - 60쪽
중앙정부의 역사가 긴 국가가 짧은 국가보다 일인당 평균소득이 더 높다. - 67쪽
부와 좋은 제도는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아니다. 500년 전에 부유했던 국가들이 성쇠의 반전을 겪은 것은 나쁜 제도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난해졌다. - 75쪽
한때 앞선 문명국가였던 중국이 중세 이후 유럽에 뒤처진 이유는 통일을 이루고 유지하기 쉬운 여건 탓이기도 하다. 통일은 때로 유리하고 때로는 불리하다. 수십개로 분할된 유럽은 수많은 군주가 수많은 실험을 시도한 것이 중국을 추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 96쪽
위기요법은 담쌓기다. 내 문제는 이 담 안쪽에 있지 바깥쪽에 있는 것들은 전혀 문제가 없어라고 하며 진짜 잘못된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찾아내야 한다. - 111쪽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① 정치적 타협의 반복적 결렬 ② 투표제도(어려운 유권자 등록, 낮은 투표율) ③ 심화되는 사회경제적인 불평등 ④ 정부의 공공 목적 투자 미흡(교육, SOC,,,,,, ) - 121쪽~123쪽
세계의 위기 ① 국가간 불평등 ② 부족한 환경자원, 그나마 있는 자원 훼손 ③ 기후변화 - 124쪽~125쪽
우리는 통제할 수 없는 위험, 선택의 여지가 없는 위험, 단번에 많은 사람을 죽이는 위험을 과대평가하고 통제할 수 있는 위험, 자발적으로 선택하거나 받아들이는 위험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 143쪽
건설적 편집증은 행위 자체는 위험성이 낮더라도 평생 빈번하게 반복해야 하는 행위에 내재된 위험을 배제하려는 좋은 행동요소다. - 145쪽~147쪽
서구식 생활방식에 길들여지면 금세 비전염성 질병에 걸리고 만다. - 158쪽
세계가 직면한 중대한 문제들(반복) ① 지구의 기후변화(온난화로 가뭄, 식량생산 감소, 해수면 상승, 열대성 질병을 옮기는 벌레들의 온대지역 이동) ② 국가간 개인간 불평등 ③ 인간에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환경자원의 관리(숲과 어장 등 자연 자원의 남용.남획 - 재생 가능한 자연 자원의 관리) - 183쪽~209쪽
나와 세계, 재레미 다이아몬드, 강주헌 옮김
'책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든 할 수 있다면 지금 해도 된다는 뜻이지 (0) | 2022.04.17 |
---|---|
똑똑한 게 빠른 의사결정에 방해가 되면 그건 단점이지 (0) | 2022.04.16 |
성과는 강점을 기반으로 할 때만 세울 수 있다 (0) | 2022.04.12 |
명예는 젊어서부터 지켜야 한다 (0) | 2022.04.10 |
세계라는 건 말이야 결국 개인의 경험치야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