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결성 시대가 추구하는 가치 3T : 투명성(Transparency), 신뢰(Trust), 전환(Transformation) - 16쪽
혁신은 이전에 없던 방식(과정)으로 새로운 지식과 자원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조하는 것 - 30쪽
혁신은 비지니스모델의 구성요소 단위 또는 그러한 요소들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새로운 수익모델, 새로운 파트너십모델, 새로운 인사관리방식 등을 통해서도 혁신은 가능하다. - 37쪽
개방형 혁신의 조직은 필수적으로 자체 지식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관련 지식은 어디에서나 찾고 적용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 51쪽
큰 파이의 작은 조각은 작은 파이의 큰 조각보다 낫다. - 51쪽
강은 스스로 창조한 패턴에 갇혀 있다. 오랜 기간 스스로 만든 협곡에 안주, 바깥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알 길이 없다. 주변도 인식하지 못하고 바다로 가는 더 좋은 지름길이 있다는 것도 알지 못할 것이다. - 68쪽~69쪽
우리가 무엇을 같이 할 수 있을까요라고 묻는 것은 초융합적 혁신의 핵심적인 질문이다. - 74쪽
체계적 창의 사고(Systemic Inventive Thinking) : 제거, 증폭, 분리, 속성의존, 결합을 통한 재탄생 - 75쪽
생태계 적응 요소 9가지 : 다양성, 선택, 영속성, 공진화, 학습폐기, 와해, 단순성, 여력, 타이밍 - 88쪽~96쪽
생존에 성공한 종은 단순한 형태인 경우가 많다. 불필요한 복잡성은 성공적인 혁신과 번식에 방해가 된다. - 94쪽
우리가 지금 하는 일이 무엇인가를 안다면 그것은 연구(혁신)가 아니다(아인슈타인) - 107쪽
두려움이 많은 사람들이 늘 안착하는 곳이 평범성 - 118쪽
초융합적 혁신은 과학적 지식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을 때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다. 적용과 새로운 조합이 가능한 분야를 다루지 않으면 많은 잠재력이 상실된다. - 140쪽
혁신 시나리오 4가지 ① 일반적으로 모두에게 개방하는 혁신 ② 공동혁신 ③ 일방적 고객중심 혁신 ④ 고객중심 공동혁신 - 146쪽~147쪽
빅데이터 또는 스마트 데이터 분석은 패턴 인식의 문제다. 패턴을 제대로 해석하면 예측에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을 뽑아낼 수 있다. - 169쪽
경계 없는 공간 ① 매력적 회의공간 ② 프로그램 제공으로 경계 없는 아카데미 ③ 학생과 전문가을 위한 작업과 연구공간 조성 ④ 혁신 앙트프레너십을 위한 인큐베이터 인프라 구축 - 193쪽~194쪽
미래센터 개념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사람은 조직혁신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지식과 역량, 즉 지적자본은 지식집약 조직의 가장 중요한 연료다. - 199쪽
성공적 초융합적 혁신 방안 ① 다양한 분야의 당사자들이 모여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에 함께 답할 수 있는 환경 조성 ② 비지니스 당위성보다 가치 정당성 우선 ③ 빛나는 실패 공유, 보상 ④ 신조직과 구조직의 협업 ⑤ 지적재산 보호, 여러 형태의 규제 개정 ⑥ 혁신을 질식시키는 요소 공략 ⑦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여 보편적 접근 방식 마련 ⑧ 모두의 인터넷, 모든 사물의 인터넷 지향 ⑨ 기존활동과 신규활동 응용으로 사회 전반의 혁신 촉진 - 250쪽~251쪽
초연결성 시대의 가치와 혁신, 변부환/폴 이스케
'책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픈 사람을 어루만져주는 사람들한테는 뭔가 성스러운 게 있어 (0) | 2022.03.22 |
---|---|
점수는 어느 한 시점에 대한 평가일 뿐 (0) | 2022.03.20 |
나 자신 외엔 아무것도 될 필요가 없다 (0) | 2022.03.17 |
재미가 없으면 외로움이 우리 영혼을 집어삼킨다 (0) | 2022.03.15 |
자녀교육 20계명, 만족하는 삶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