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행복이나 불행으로 인도하는 것은 운명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태도다. 돈을 벌었다고 기뻐하지 않고 망했다고 슬퍼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인문학에서 말하는 행복이다. - 45쪽
인생의 즐거움을 아는 아이 키우기 ① 독서(읽고 성장하는 즐거움) ② 예술(성숙한 인간이 누리는 기쁨) ③ 자연(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교실) ④ 나눔(마음으로 훈육하는 행복한 관계 맺기) - 50쪽~58쪽
신이 준 미감을 잃지 않으려면 날마다 음악을 듣고 시를 읽으며 그림을 감상해야 한다(괴테) - 52쪽
잘 노는 사람이 공부도 잘한다. 즐겁게 놀고 나면 마음이 가벼워져 힘이 솟는다. - 88쪽
토론은 내 앞에 있는 사람을 온전히 내 안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행위이다. - 98쪽
당나귀가 여행을 떠났다고 말이 되어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 115쪽
아이의 인격을 키워주는 전문기관은 없다. 그 일은 전적으로 부부의 몫이다. - 122쪽
인성교육 ① 진리를 가르쳐라 ② 사랑을 가르쳐라 ③ 겸손을 가르쳐라 ④ 감정을 가르쳐라 - 130쪽~149쪽
칭찬에 우쭐해 한다면 너는 형편없는 사람이 되는 거야. 우리는 언젠가는 흙으로 돌아가는 존재에 불과해. - 141쪽
금도끼 은도끼가 내것이 아니라는 나뭇군 이야기는 정직이 아니라 평정심에 대한 이야기다. - 145쪽
분별력이란 진실과 거짓, 선과 악을 구분하는 능력이며 내가 살고 있는 사회의 구조와 사회 각계각층 사람들의 심리를 예리하게 꿰뚫어보는 능력이며 누구를 가까이하고 멀리할지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이다. - 157쪽
분별력 키우기 ① 사회의 진실을 정확히 가르쳐라 ② 눈으로 본 것을 머리로 판단하게 가르쳐라 ③ 부모 옆에서 배우게 하라 ④ 사람에 대해 늘 깨어있게 하라 ⑤ 권리를 당당하게 주장하도록 가르쳐라 ⑥ 관계정리법을 가르쳐라 - 163쪽~173쪽
학교 공부를 아무리 잘해도 세상을 살아가는 법과 사람을 대하는 법을 배우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규칙만 지키도록 배운 아이는 기득권 세력의 수족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 174쪽
스스로 교육 ① 아이의 일을 대신해주지 마라 ② 자기 감정은 스스로 관리 ③ 시간의 주인이 되게 하라 ④ 완벽을 추구하는 습관 ⑤ 건강한 삶을 위한 균형 잡기 ⑥ 이만하면 됐어는 안된다 - 176쪽~184쪽
돈을 중심으로 사람이 움직이면 안 되지만 실제 인간관계에서 돈은 괸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제에 관해서는 아이가 조기에 절제와 평정심을 갖도록 교육하라. - 190쪽~191쪽
아이의 잠재의식을 믿지 않는 상태에서는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다. - 208쪽
원래 인간은 우주와 인간에 대한 지식을 완벽하게 지니고 있었다. 왜냐면 인간은 신의 창조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영혼은 태어나면서 생긴 것이 아니라 이데아의 세계에서부터 존재하던 것으로 인간 세계 지상으로 추락하면서 모든 기억을 잃었다. 그러므로 대화를 통해 진리를 깨우쳐주면 자신이 원래 갖고 있던 진리를 깨닫게 된다. - 212쪽~213쪽
책을 많이 읽는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성숙하지 않은 뇌에 일방적으로 텍스트를 주입하면 유사자폐 현상이 일어닌다. 아이의 두뇌가 망가지는 이유는 놀지 않아서다. - 234쪽
인공지능 시대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다. 미래의 인간은 인공지능에게서 지시를 받는 사람과 인공지능에게 지시를 내리는 사람으로 나뉠 것이다. 창조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미래의 리더가 된다. - 252쪽
내 아이를 위한 칼 비테 교육법, 이지성
'책 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벽주의자가 서 있을 자리는 많지 않다 (0) | 2022.04.24 |
---|---|
기다림이 간절할수록 시간은 더디게 흐르는 것이고 (0) | 2022.04.23 |
훌륭한 삶이란 그렇게 되어가는 과정이다 (0) | 2022.04.19 |
언제든 할 수 있다면 지금 해도 된다는 뜻이지 (0) | 2022.04.17 |
똑똑한 게 빠른 의사결정에 방해가 되면 그건 단점이지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