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에서

질문은 언제나 한 가지 이상의 대답을 갖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조조다음 2021. 7. 18. 06:30

자신에 대해 책임진다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책임진다는 뜻이다.  - 10쪽

 

치킨 리틀 신드롬의 결과는 기회를 놓치는 것만이 아니라 아예 기회를 차단해버리는 사태를 초래한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결론을 내린다면 실제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36쪽

 

최악의 상황을 만드는 생각 ① 극대화 - 작은 실패를 전체 삶의 실패로 생각 ② 일반화 - 상상의 실패를 실제의 실패로 생각 ③ 모방 - 다른 사람의 결론을 그대로 수용 ④ 확대 - 작은 실수를 큰 실수로 생각   - 39쪽~42쪽

 

겁장이는 실제로 죽기 전에 여러 번 죽는다. 용감한 자는 한 번 죽을 뿐이다(세익스피어)  - 40쪽

 

자신의 생각에 도전해야 할 때는 화가 나 있다고 느낄 때다.  - 45쪽

 

진정한 보호책은 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대안적 결론을 기꺼이 시험하는 데 있다.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전에 잠시라도 멈춰서 자신에게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 재고해보는 것만으로도 평생 지속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55쪽

 

대부분의 사람들은 힘든 시간, 경기에 참가하는 수고 없이 승자의 달콤함만을 원하지만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88쪽

 

직접 말하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려고 노력하는 것보다는 그냥 직감에 맡기는 것이 더 편하다면 당신은 원치 않는 결과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89쪽

 

싸움이 언제나 나쁜 것은 아니다. 어떤 싸움이든 당당하게 맞서 싸우는 것은 좋은 일이다.  - 110쪽

 

질문은 언제나 한 가지 이상의 대답을 갖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 110쪽

 

모든 성공의 즐거움 뒤에 따르는 큰 위험들 중 하나는 이미 얻은 것에 만족하여 더는 노력하지 않는 것이다.  - 121쪽

 

현명한 투자자들은 어디에 돈을 투자할지 결정할 때 잠재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전망이 좋지 못한 부분까지 함께 고려한다. 어떤 일이든 부정적인 면을 생각하는 것은 별로 기분 좋은 일은 아니지만 현실 파악에 꼭 필요한 부분이다.  - 133쪽

 

비판에 질문을 던지고 책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소리굽쇠가 진동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더라도 그것을 억제할 만한 행동은 할 수 있을 것이다.  - 169쪽

 

완벽주의는 창피함을 치하기 위한 욕구  - 176쪽

 

완벽주의자들은 타협하기 싫어한다. 타협한다는 것은 옳다고 믿었던 방법이 단 하나의 완벽한 대책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인증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 187쪽

 

목표를 성취 대상으로 보지 말고 목표에 가까이 다가갈 대상이라 생각하라.  - 197쪽

 

비교하는 습관을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비교가 효과적일 때도 있으므로 비교하는 것을 포기하고 싶지도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비교 습관을 조금만 줄여도 생활이 훨씬 편해진다.  - 226쪽

 

만약을 이용한 가정이 항상 나쁜 것은 아니다. 상상으로 창조된 이미지는 얼마든지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가정을 사용할 수 있다.  - 237쪽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말하는 '해야 한다'는 말은 문제를 일으킬 엄청난 소지를 갖고 있다.  - 248쪽

 

기억하라. 미래의 당신은 지금보다 더 행복을 누릴 수 있다.  - 261쪽

 

'그렇긴 한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특징 ① 자신감이 없다 ② 우유부단하다 ③ 자기방어적 화풀이 반복 ④ 실수 확장  - 273쪽~281쪽

 

그렇긴 한데를 네, 그리고로 바꿔라. 네, 그리고는 당신이 일을 미루는 것을 막아준다.  - 282쪽~283쪽

 

그동안 당신이 몰랐던 스마트한 실수들, 아서 프리먼/로즈 드월프, 송지현 옮김

 

실수를 줄이는 23가지 방법  - 296쪽~327쪽

1. 실수 분석

① 나에게 묻기 ② 증거를 의심하기 ③ 책임 나누기 ④ 잠시 멈춰 생각하기 ⑤ 실수에 라벨 붙이기 ⑥ 훌륭하게 과장하기 ⑦ 문제의 등급 정하기

2. 실수를 줄이는 대안 모색

① 생각의 시나리오 짜기 ② 장단점 비교하기 ③ 그래서? ④ 역경을 기회로 ⑤ 성공에 대한 상상 ⑥ 긍정적 이미지 연습 ⑦ 구체적 지침 만들기 ⑧ 다른 생각하기 ⑨ 변호사 놀이

3. 실수에서 벗어나는 실천법

① 시간관리 ② 경험 계획하기 ③ 질문하기 ④ 목표 세분화하기 ⑤ 역할연기 ⑥ 새로운 행동 시도하기 ⑦ 휴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