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통화는 에너지입니다. 에너지로 우리 집에 불을 켜고 음식을 기르고 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죠
에너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화석연료를 태우든 원자를 쪼개든 혹은 태양전지를 때리는 햇빛으로부터든지요. 그러나 이 셋 모두 불리한 면이 있습니다. 화석연료는 유해물질을 내놓고 핵 폐기물은... 아시죠? 그리고 흐린 날을 위해서 햇빛을 저장해두기엔 아직 충분한 배터리가 없습니다.
그런데 태양은 공짜 에너지를 거의 무제한으로 가지고 있는것처럼 보이죠 지구상에 이런 태양을 만들 방법은 없을까요? 별을 병에 담아둘 수는 없을까요? 태양은 핵융합으로부터 빛을 냅니다. 대강 설명하면, 핵융합은 어떤 열핵반응입니다. 무슨 뜻인가 하면, 재료를 아주 아주 뜨겁게 해주었을 때 자가 원자로부터 떨어져나와서 플라즈마를 형성하며 원자핵과 전자가 이리저리 튕겨다닌다는 말입니다. 원자핵은 (+)로 대전되어있어서 서로 밀어내는데, 이 반발을 이겨내려면 입자들이 아주 아주 빨라야합니다. 여기에서 아주 빠르다는 말은 아주 뜨겁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수백만도가 넘어야 하죠
별들은 이 온도를 얻기 위해 조그만 속임수를 씁니다. 별은 질량이 너무 커서, 핵에 가해지는 압력이 원자핵끼리 들러붙게 할만큼 큰 열을 만들어냅니다. 합해져서 융합할때까지요. 그러면 더 무거운 원자핵이 만들어지면서 그 과정에서 에너지를 내놓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때 나오는 이 에너지를 이용하고 싶어합니다. 신세대 발전소에 말이죠 이것이 바로 핵융합 반응로입니다.
지구상에서는 이렇게 힘에 의존한 방법으로는 핵융합을 실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핵융합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산해내는 반응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똑똑해져야합니다.
현재까지 과학자들은 핵융합을 일으킬만큼 뜨거운 플라즈마를 만드는 방법을 두가지 개발했습니다.
하나는 자기장을 이용하는 타입의 반응로로써 도넛 모양의 챔버에서 플라즈마를 쥐어짜서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런 자기밀폐형 반응로로는 프랑스의 ITER이 있는데 초전도체 전자석에 액체 헬륨을 사용해서 절대영도 부근까지 냉각시킵니다. 즉, 우리 우주에서 가장 큰 온도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뜻입니다.
두번째로는 관성밀폐형이라고 불리는 반응로가 있는데 대출력 레이저 펄스를 이용해서 연료 펠릿의 표면을 가열하면 연료가 붕괴해서 금세 연료가 핵융합을 일으킬만큼 뜨겁고 조밀하게 만듭니다. 사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는 미국의 국립 점화연구소 NIF에 있으며 핵융합 실험에 쓰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혹은 세계 다른곳에서 이루어지는 비슷한 실험들은 아직까지는 그저 실험에 불과합니다. 과학자들은 아직 기술 개발단계에 있으며 핵융합반응을 일으킨다고 해도 아직까지는 핵융합이 만들어내는 에너지보다 실험에 투입되는 에너지가 더 큽니다. 핵융합 기술은 아직 상업적으로 자립하기엔 갈 길이 멉니다. 아마 영영 안 될지도 모르고요.
어쩌면 지구상에서 동작하는 반응로를 만드는 것조차 불가능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만약 거기까지 갈 수만 있다면 단 한잔의 바닷물로부터 기름 한 배럴을 태우는것과 동등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폐기물도 안 생길겁니다.
왜냐하면 핵융합 반응로는 수소나 헬륨을 연료로 하는데 바닷물에는 이런 수소가 가득 차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수소라고 해서 다 쓸 수 있는건 아닙니다. 우리가 원하는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중수소나 삼중수소처럼 중성자를 몇개 더 가진 특별한 동위원소가 필요합니다. 중수소는 안정적이며 바닷물에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그러나 삼중수소는 좀 까다롭습니다. 삼중수소는 방사성물질이며 지구에 고작 20킬로그램밖에 없습니다. 그나마도 대부분 핵탄두에 들어있죠 그래서 말도 안되게 비쌉니다. 그래서 삼중수소 대신 중수소와 융합시킬 다른 물질이 필요합니다.
헬륨의 동위원소 헬륨3이 이 역할을 훌륭하게 대신할 수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헬륨3도 지구에 아주 적은 양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달에 답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수십억 년의 세월동안 태양풍에 의해서 달에는 엄청난 양의 헬륨3이 쌓여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헬륨3을 만들어내는 대신 채굴할 수 있죠. 달의 먼지에서 헬륨을 걸러낼 수 있다면 수 천년동안 전 세계에 에너지를 공급할 만큼 충분한 연료를 얻을 수 있을겁니다. 아직 납득이 안 가신다면 아직 논쟁거리가 있긴 합니다.
미니 태양을 만들어내는 것은 좀 위험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실 핵융합 반응로는 다른 어떤 발전소보다도 훨씬 안전할겁니다. 핵융합 반응로는 노심용융이라는 재앙을 일으킬 수도 있는 원자력 발전소와는 다릅니다. 밀폐 과정에 실패한다면 플라즈마는 그냥 팽창해서 식어버리고 반응은 멈춥니다.
간단히 말해서, 핵융합은 폭탄이 아닙니다. 삼중수소같은 방사성 연료가 누출되면 환경에 위협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삼중수소는 산소와 결합해 방사성 물을 만들어내고 이 물이 환경에 스며들어 위험해질 수도 있지만 다행히도 한번에 사용되는 삼중수소는 수 그램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누출이 일어나도 금방 희석될겁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로는 환경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도 거의 무한정의 에너지를 물 같은 단순한 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고 했는데요 그러면 발목을 잡고 있는게 뭘까요? 비용입니다.
우리는 핵융합이 상업적으로 자립 가능할 지 아직 모릅니다. 만약 가능하다고 해도 짓기가 너무 비쌀 수도 있습니다. 이 기술의 가장 큰 결점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 문제는 10억달러짜리 도박과도 같습니다. 이 돈은 이미 입증된 다른 청정 에너지에 투자하는게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빠르게 손절할 수도 있지만 혹시 모두를 위한 깨끗한 에너지를 무제한 얻을 수 있다면 위험을 감수할만한 가치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KISTI와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신 개발, 왜 어려울까? (KISTI) (0) | 2020.04.03 |
---|---|
초미세 먼지의 원인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0) | 2020.04.01 |
천리안 2B호 발사와 궤도 안착 성공! 미세먼지 분석한다 (KISTI) (0) | 2020.03.26 |
모방 유전자 밈(Meme)? (KISTI) (0) | 2020.03.25 |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 (KISTI)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