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와과학

동물끼리는 ‘인간이 모르는 말’ 쓴다 (KISTI)

조조다음 2013. 10. 12. 06:25

 

 

 

흔히 인간을 ‘만물의 영장’ 또는 ‘고등 생물’이라 부른다. 가축이나 야생동물보다 지능지수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머리가 좋은 고등한 존재라면 그보다 못한 하등 생물의 생각이나 표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할 텐데 실제로는 정반대다.

영국 작가 휴 로프팅(Hugh Lofting)이 지은 동화 ‘돌리틀 선생님’에는 사람 말을 할 줄 아는 앵무새 ‘폴리네시아’가 등장한다. 돌리틀 선생님에게 동물의 언어를 가르쳐줄 정도로 똑똑한 폴리네시아는 동물의 말을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지적하곤 한다.

“이 세계가 생긴 지 벌써 몇 천 년이나 됐어요. 그런데 왜 인간은 아직도 동물의 말을 한 가지밖에 못 알아듣는 거죠? 개가 꼬리를 흔드는 것은 즐겁기 때문이래요. 이것밖에 모르다니 인간은 정말 바보 같지 않아요?”

현실 세계에서는 둘리틀 선생님처럼 모든 동물의 언어를 알아듣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조련이나 훈련을 통해서 동물들이 사람의 말을 알아듣거나 따라할 뿐이다.


•인간의 언어 흉내 내는 코식이․알렉스․코코

용인 에버랜드 동물원에 사는 스물세 살 코끼리 ‘코식이’는 사람의 말을 할 줄 안다. “안녕”, “좋아”, “아니야”, “누워”, “앉아”, “안 돼”, “아직”의 일곱 단어뿐이지만 사람과 똑같은 목소리로 정확하게 발음한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연구진이 코식이의 발음을 녹음해 일반인에게 들려주자 “안녕”과 “아니야”를 알아들은 사람이 각각 56%와 44%에 달했다.

사람처럼 말하는 동물은 또 있다. 2007년까지 살았던 아프리카 회색앵무새 ‘알렉스’는 1에서 8까지 숫자를 셀 수 있었고 50개에 달하는 물건의 이름을 구별할 줄 알았다. 또한 150개의 단어를 조합해 짤막한 문장을 만들기도 했다. 일반적인 새의 능력을 뛰어넘었다고 해서 ‘천재 앵무새’라 불렸다. 죽기 전날 남긴 유언은 평소에도 즐겨 말하던 “잘했어요. 내일 봐요. 사랑해요.(You be good. See you tomorrow. I love you)”였다.

코식이와 알렉스는 사람의 발음을 흉내 냈지만 손을 사용해 수화로 의사소통을 하는 동물도 있다. 1971년생 고릴라 ‘코코’다. 사람이 발음하는 단어 중 2,000개를 알아듣고 1,000개의 단어를 수화로 표현할 줄 안다. 아끼던 고양이 ‘올볼’이 자동차 사고로 죽었을 때는 “나빠. 슬퍼. 찡그려져. 울어.” 하고 반복적으로 표현하며 흐느껴 울기도 했다. 같은 영장류에 속하는 침팬지 중에도 인간의 수화를 배운 경우가 많다.

인간은 동물이 사람의 말을 알아듣는 것을 신기해한다. “손” 하는 소리에 강아지가 앞발을 내밀면 표정이 밝아지고 “점프”라는 조련사의 외침에 돌고래가 물 위로 뛰어오르면 격려의 박수를 치게 된다. 사람의 말을 흉내 내면 더욱 놀란다. “안녕하세요”, “나도 몰라” 하고 앵무새가 말을 하면 자신의 귀를 의심하기도 한다. 동물들은 말을 할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물끼리도 의사소통을 한다. 다만 인간이 알아듣지 못하는 방식으로 대화할 뿐이다. 침팬지나 코끼리뿐만 아니라 새, 돌고래, 심지어 곤충도 서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한다.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Karl von Frisch)는 꿀벌의 춤에 담긴 의미를 알아내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기도 했다. 40년 동안의 연구 끝에 프리슈는 꿀벌이 원을 그리거나 8자 모양으로 분주하게 움직이는 이유가 꿀이 가득한 꽃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동물들의 의사소통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미국 노던아리조나대학교의 콘스탄틴 슬로보치코프 교수는 초원에 사는 설치류 ‘프레리독’의 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프레리독은 여러 가지 패턴의 소리를 조합해서 문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단어만 50개를 넘는다고 한다.

2013년 3월에는 돌고래의 언어도 발견됐다.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와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합동 연구진은 플로리다주(州) 사라소타 인근 해안에 서식하는 큰돌고래를 연구해 서로의 이름을 부른다는 결론을 얻어냈다. 한 쌍의 큰돌고래를 포획한 뒤 몇 주 동안 개별 철창에 넣어 소리를 녹음한 뒤 다시 풀어주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다른 큰돌고래의 고유한 음성패턴을 따라하는 현상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큰돌고래는 특히 여러 사물을 접할 때마다 다른 소리를 냄으로써 “이것은 사과”, “저것은 포도” 하는 식으로 각각의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이나 행동으로 이루어진 각자의 신호를 주고받으며 의미를 학습하는 소통 방식을 ‘참조적 의사소통’이라 한다. 동물 중에는 인간과 회색앵무새 그리고 큰돌고래에게서만 발견된 언어 능력이다.

혹시 동물들의 의사소통은 인간처럼 정식 언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본능에 따라 정해진 소리를 내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고양이는 전 세계 어디서든 야옹 하고 울어야 하고 새들은 종에 따라 고유의 소리를 내야만 한다. 하지만 미국과 캐나다 동부 해안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켄트 섬의 새들을 연구하면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났다. 1980년부터 2011년까지 30년 동안 초원멧새들의 울음소리를 녹음해 비교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리의 구성이 조금씩 바뀌어 왔던 것이다.

켄트 섬의 초원멧새들은 도입(intro), 중앙(middle), 버즈(buzz), 트릴(trill) 등 4개 단락으로 이루어진 한 가지 울음소리만 낸다. 그러나 30년이라는 긴 세월이 흐르면서 중앙 부분에 짧고 강한 스타카토가 삽입됐고 마지막 트릴 부분은 낮고 짧은 소리로 바뀌었다. 시대에 따라 사람들의 말투가 달라지고 억양이 바뀌는 것처럼 새들의 소리도 문화적인 진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고등 생물인 인간은 이처럼 동물마다 서로 다른 의사소통 방식을 언제쯤 모두 알아듣게 될까. 최근 한림대학교에서는 개의 뇌파를 읽고 이를 인간의 언어로 바꾸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뇌의 전두엽에 심어진 센서가 뇌파 변화를 감지한 후 미리 입력된 문장 중 적합한 것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아직은 8가지 문장만을 인식하지만 미래에는 동물의 생각을 알아내 사람의 언어로 풀어내는 날이 올 지도 모른다.

글 : 임동욱 과학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