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철저히 계획을 세우고 모든 일을 100% 해내고자 하는 완벽주의는 때로는 성공을 위한 조건이지만 때로는 개인의 건강을 갉아 먹는 강박성 성격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으며 모든 일을 다 잘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완벽주의자는 이런 생각을 하지 못한다.
완벽해야 해서 조급하고, 완벽하지 못할까 봐 두렵다
의학적으로 완벽주의는 ’강박성 성격장애‘와 맞닿아 있다. 이 성향의 사람들의 모토는 ’사람이라면 매사 더 잘해야 하고,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다. 완벽해야 하기 때문이다. 강박성 성격장애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이 완벽주의다.
이 성향의 사람들은 ’더 잘해야 해서‘, ’더 노력해야 해서‘ 늘 계획을 무리하게 세우기 때문에 항상 바쁘고 조급하다. 완벽함을 위해 세부 사항에 집중하다 오히려 큰 맥락을 놓치거나 일을 제 시간에 끝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완벽하기 위해 더 노력하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일의 마감 시간이 임박할 때까지 손을 놓지 못하는 것이다.
시험 공부 방식에서도 성향이 드러난다. 강박성 성격장애 성향의 사람들은 시간이 부족해도 시험 범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보려고 애쓴다. 내용을 한 번다 보는 것에 매인 나머지 정작 시험에 나올 만한 내용을 암기하는 데는 시간을 충분히 쓰지 못해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지 못할 때가 많다.
미국 정신의학회가 출판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의 진단 기준을 보면 이 외에도 지나치게 도덕적이거나 양심적이고, 언제 어떻게 쓸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물건을 잘 못 버리며,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돈에 인색하거나 돈 걱정을 많이 한다는 특징도 있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강박성 성격장애의 의학적 치료법은 인지 행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완벽한 성공 아니면 모두 실패로 치부하는 흑백논리를 지양하고 실패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생각하는 등 긍정적으로 사고하라는 가이드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0과 100으로만 평가하던 사고에서 벗어나 60점, 80점 등으로 평가를 세분화하고 이를 언어 습관에 적용할 것을 조언한다. 예를 들어 “이번 시험은 망쳤어”어 대신 이번 시험은 세 문제 틀렸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인지 치료의 목표는 사실 ’괜찮아‘할 수 있는 마음이다. 실수 좀 해도 괜찮고,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부모에게 혼나지 않기 위해 하지 않았던, 혹은 사랑받기 위해 지켰던 규칙들과 상관없이 당신은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으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강박을 하는지 아는 게 필요하다. 그리고 강박하는 순간마다 스스로에게 말해 주면 된다. 괜찮다, 다 괜찮다. 완벽하지 않아도 정말 괜찮다.
글 : 이화영 과학칼럼니스트 / 일러스트 : 유진성 작가
'KISTI와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분 안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 (KISTI) (0) | 2019.12.25 |
---|---|
물의 도시 베네치아가 물 때문에 난리인 이유 (KISTI) (0) | 2019.12.24 |
이기적 이타주의란 무엇인가? (KISTI) (0) | 2019.12.21 |
가상화 기술이 접목된 의료진의 활용도는 어떠할까? (KISTI) (0) | 2019.12.20 |
환경 폐기물과 집단 암 발병, 어떤 마을의 비극 (KISTI)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