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마귀나 참새만 보더라도 서로 울음소리가 다르다. 그렇다면 새의 울음소리는 왜 다른 것일까.
새의 울음소리가 종류마다 다른 것은 몸집 크기와 서식지 때문이다.
발성 기관인 명관의 크기에 의해 새의 울음소리는 달라진다. 몸집이 큰 칠면조 같은 경우, 낮은 주파수로 막을 진동시켜 중저음의 깊은 소리를 낸다. 하지만 몸집이 작은 새들은 높은 소리를 낸다.
펭귄의 경우, 두 가지 주파수의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울음소리가 다 다르다. 펭귄은 수천 마리씩 모여 사는 집단생활을 한다. 그 중에 자신의 배우자나 자식을 쉽게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국 코넬대학 조류학연구소의 산드라 베렌캠프 명예 교수에 따르면 서식지에 따라 새의 울음소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나무나 풀이 무성하게 우거진 곳에서는 음조가 높고 짧은 새의 울음소리는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음조가 높고 짧은 울음소리를 가진 새들은 장애물이 없는 넓은 풀밭에 산다. 그리고 울음소리가 울림이 적은 톤이나 날카로운 소리를 가진 새들은 수풀에 산다.
'KISTI와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튼튼한 근육의 비결은 그린 토마토! (KISTI) (0) | 2014.05.07 |
---|---|
앗, 정전기 (KISTI) (0) | 2014.05.06 |
홍삼, 신종플루와 독감 예방에 탁월 (KISTI) (0) | 2014.05.04 |
닭은 왜 새벽마다 일어나 울까? (KISTI) (0) | 2014.05.03 |
상처 부위의 가려움증은 치유의 증거 (KISTI) (0) | 2014.05.02 |